DNS Record 와 CNAME
DNS Record
boojafactory.ga A 52.231.13.171
부자팩토리 도메인 네임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1건을 말하며 이것을 DNS 레코드라고 합니다. 이것을 해석하면 "boojafactory.ga 라는 도메인의 Address(주소)는 52.231.13.171 이고 DNS 레코드는 A타입입니다."가 됩니다.
boojafactory.ga. NS ns01.freenom.com
Top-level 도메인 네임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1건을 말하며 이것을 DNS 레코드라고 합니다. 이것을 해석하면 "boojafactory.ga 라는 도메인의 NS(네임서버)는 ns01.freenom.com 이고 DNS 레코드는 NS타입입니다."가 됩니다.
ga NS a.ns.ga
Root 도메인 네임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1건을 말하며 이것을 DNS 레코드라고 합니다. 이것을 해석하면 "ga 라는 Top-level도메인을 담당하는 NS(네임서버)는 a.ns.ga 이고 DNS 레코드는 NS타입입니다."가 됩니다.
CNAME
A타입 레코드는 boojafactory.com을 입력하면 192.0.1.1에 해당하는 IP주소로 맵핑시켜줌으로써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해줍니다.
CNAME은 boojafactory.com 이 도메인의 이름인데 www.boojafactory.com으로 별명을 붙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즉 웹브라우저에 www.boojafactory.com을 입력하면 CNAME 레코드에 의해서 boojafactory.com이라는 주소로 연결시켜줍니다. 아직까지 boojafactory.com은 IP 주소가 아니기 때문에 다시 IP 주소를 찾아서 192.0.1.1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로 연결되게 됩니다. 따라서 www.boojafactory.com을 웹브라우저에 입력하면 부자팩토리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cdn.www.boojafactory.com 을 입력하게 되면 CNAME 레코드에 의해서 lorem-1c6b.kxcdn.com이라는 다른 웹사이트로 접속하게 됩니다.
정리하면 A 레코드는 도메인을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와 연결시키는 것이고 CNAME은 도메인을 또다른 도메인으로 지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CNAME은 왜쓸까?
A레코드는 최종적으로 필요한 IP주소를 가리키기 때문에 가장 기본적이고 분명합니다. 그런데 boojafactory.com의 IP주소가 빈번하게 변경된다면 부자팩토리 웹사이트에 접속하기위해서 그때마다 변경된 IP를 찾아서 접속해야되니 매우 불편할 것입니다. 또한 boojafactory.com을 가리키는 또다른 주소의 사이트들이 여러개가 있을 수 있습니다. www.boojafactory.com도 boojafactory.com을 가리키고 cnd.boojafactory.com도 boojafactory.com을 가리키는 그런상황.. 그러면 그때마다 IP주소를 변경하려면 매우 불편할 것입니다.
그런데 www.boojafactory.com 이든 cnd.boojafactory.com 이든지 CNAME 레코드에 의해서 boojafactory.com 을 가리키게 해준다면 이것은 boojafactory.com 이라는 "이름"을 가리키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상태에서 부자팩토리 웹사이트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웹사이트의 boojafactory.com이라는 "이름"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굳이 이름을 변경할 필요없이 통신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이 CNAME을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CNAME 변경해보기
freenom사이트에 접속해서 Mydomains --> Manage Domain 항목을 클릭하면 Add Record 란이 나옵니다. 거기서 Name에 api.boojafactory.ga를 입력하고 CNAME 레코드 타입을 선택하고 TTL 수치를 적당하게 300으로 입력하고 Target란에 boojafactory.ga를 입력한 뒤 Save Changes 버튼을 클릭하면 기존의 A타입 레코드에서 CNAME 타입으로 변경이 완료가 됩니다.
그러면 부자팩토리 네임서버에 CNAME 타입의 DNS 레코드가 추가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제 부자팩토리 네임서버에 api.boojafactory.ga CNAME boojafactory.ga 라는 CNAME타입의 DNS레코드가 저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웹브라우저에 api.boojafactory.gad을 입력하면 부자팩토리 웹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이것을 확인하려면 nslookup을 cmd창에 입력하고 확인하면 됩니다. 그리고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컴퓨터와 친해지기 > D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GitHub에 도메인 연결 (0) | 2018.12.11 |
---|---|
#10 내 도메인 이름 등록하기 (0) | 2018.12.09 |
#09 nslookup (0) | 2018.12.08 |
#08 도메인 이름 등록 과정 (0) | 2018.12.07 |
#07 도메인 이름의 구조 (0) | 201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