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ich 2 - 재무지식/재무능력 키우기

(재무능력 키우기 #04) 재무상태표의 목적 / 작성원리

# INTRO 

 

안녕하세요? 부자팩토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무상태표의 목적 & 작성원리" 에 대한 주제를 다루어볼까합니다.

 

재무상태표의 목적

 

재무상태표의 오른쪽

재무상태표의 오른쪽은 회사가 어떻게 자금을 조달했는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은행에서의 차입금, 투자자로부터 유치한 자본금, 공급자로부터의 외상 매입금이 나타나있습니다.

 

외상 매입금의 경우 공급처에서 원자재를 공급받았고 30일 이후에 대금을 결제한다면 사실상 공급처가 30일 간 회사에 돈을 빌려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의 왼쪽

재무상태표의 왼쪽은 회사가 조달한 자금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즉, 조달한 “군자금”으로 어떤 “무기”를 조달해서 비즈니스라는 전쟁터에서 경쟁사와 싸워 이기려 하는지 보인다는 것입니다. 쉽게 이해하자면 소총, 탱크, 핵무기와 같이 현금, 장비, 공장 등에 투자를 한다고 보면 되는 것입니다.

 

재무상태표가 왜 중요할까?

창업가는 손익계산서가 가장 먼저 보고 싶을 것입니다. 하지만 투자자, 은행가, 경험이 풍부한 기업가는 재무상태표를 제일 먼저 봅니다. 그만큼 재무상태표에는 회사와 관련한 풍부한 정보가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지는 유동자산, 특히 현금이 유동 부채보다 많은지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의 이전 재무상태표와 비교를 해서 자본금이 추가적인 투자유치나 차입금 없이 운영되고 있는지를 보면 회사가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때문에 재무상태표를 볼 수 있는 능력은 중요한 것을 넘어서 사업시스템 운영자에게는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SCRIPT

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재무 상태표의 작성

사건 1 : 창업

1월 1일 : 창업자 A, B가 주식회사 X를 창업했습니다.

창업자 A 지분율 60% / 투자금 6,000만 원

창업자 B 지분율 40% / 투자금 4,000만 원

주식회사 X의 총 자본금 1억 원

각각 연봉 3,600만 원을 산정하고 실수령액ㅇ로 2/3에 해당하는 2,400만 원을 지급받습니다. 나머지 1/3에 해당하는 1,200만 원에 대한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50%에 해당하는 600만 원은 소득세로 납부되고 나머지 50%에 해당하는 600만 원은 보험료로 다음 해 5월 납부하기로 합의합니다. 

00년 1월 1일 창업된 당일 회사에는 1억 원의 현금이 있고 이것은 2명의 창업자가 출자한 자본금이 됩니다. 따라서 재무상태표의 왼쪽에는 현금 1억 원, 오른쪽에는 자본금 1억 원이 표시됩니다.

 

이처럼 재무상태표는 왼쪽에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형태(현금)와 크기(1억 원), 오른쪽에는 그 자산을 위해 자금을 어떻게 조달했는지 보여주게 됩니다.

 

그리고 재무상태표는 현 시점인 00년 1월 1일의 재무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회사에서 벌어지는 재무적 활동 하나하나에따라 재무상태표는 계속해서 변화를 거듭하게 됩니다.

 

사건 2 : 임대료와 비용

1월 2일 : 사무실을 임대 보증금 없이 월세 300만 원에 빌렸습니다. 그 외의 비용으로 월 100만 원을 지출했습니다.

00년 12월 31일의 재무상태표를 만드는 것이므로 1월~12월까지 12개월 동안 지출된 임대표와 기타경비는 

(300만 원 + 100만원) x 12 = 4,800만원

이 됩니다. 따라서 현금은 전 단계의 1억 원에서 4,800만 원 감소해 5,200만 원이 남습니다. 자본금도 같은 금액만큼 감소하게 됩니다.

사건 3 : 장비 구매

1월 15일 : 제품개발용 컴퓨터를 현금 1,000만 원에 구입했고 이 장비는 향후 5년간 사용될 계획입니다.

제품개발용 컴퓨터를 현금 1,000만 원에 구입했고, 이 장비는 앞으로 5년간 사용될 것입니다. 이로 인해 현금이 1,000만 원 줄어들게 되고 대신 같은 가치의 고정자산이 생기게 됩니다. 표의 오른쪽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즉 좌변과 우변은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사건 4-1 : 급여 지급

1월 25일 : 창업자 A(CEO)월급 = 200만 원 / 창업자 B(CTO) 월급 = 200만 원

사건 4-2 : 세금과 보험료 산정

연봉의 나머지 1/3 중 절반은 소득세로 나머지 절반은 보험료로 이듬해 5월 납부합니다.

창업자 두 사람의 연봉 각각 3,600만 원 중 2/3를 본인들에게 지급했습니다. 따라서 연말까지 자본금 4,800만 원 감소하게 됩니다.

 

회사는 연봉의 나머지 1/3에 해당하는 2,400만 원을 세금과 보험료로 이듬해 5월에 납부하게 됩니다. 회사가 2,400만 원을 다음 해 5월 납부할 예정이므로 현금의 변화는 없고 오른쪽에서 미지급금이 2,400만 원이 생기고 자본금이 2,400만 원 감소하게 됩니다.

 

현재 재무제표는 00년 12월 31일 기준이므로 현재의 시점이 아닙니다. 현재는 회사에 현금이 남아있는 상태이고 연말 기준으로 현금이 마이너스가 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따라서 사업시스템 운영자는 자금 조달을 통해 현금흐름을 플러스 상태로 만들어야 회사가 생존할 수 있게 됩니다. 

 

사건 5 : 제품 개발

6월 30일 : 첫 제품의 개발이 완료되었습니다. 1월~6월까지 6개월 간 매달 500만 원의 개발비를 투입했습니다. 총 개발비용 3,000만 원. 그 이후로도 연말까지 제품의 개선과 신제품 개발을 위해 월 500만 원을 지출했습니다.

한 달 제품개발 비용 = 500만원이므로 12개월 간 제품개발 비용은 6,000만 원이 지출되었습니다. 따라서 현금이 6,000만 원 감소하고 자기 자본금도 같은 액수만큼 줄어들게 됩니다.

 

 

사건 6 : 벤처캐피털(VC) 투자 유치 및 생산 담당 직원 채용

7월 31일 : 초기 스타트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벤처캐피털 업체 K벤처스가 4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생산을 담당할 직원 1명을 채용했습니다. 연봉 2,400만 원(실수령 연봉액 = 1,600만 원, 세금 및 보험료 800만 원) 

사건 7-1 : 제품 생산

9월 30일 : 전문 생산업체에 9월 1일에 주문한 제품 1만 5,000개가 도착했습니다. 제품 생산가격은 개당 6,000원 이었고 생산 대금 9,000만 원은 1개월 후에 현금으로 결제합니다.

사건 7-2 : 생산담당 직원 급여 지급

10월 1일 : 생산담당 직원 급여 지급 200만 원(세금 및 보험료 포함)

생산담당 직원의 연봉은 2,400만 원이고 00년 12월 31일 재무상태표이기 때문에 3개월치 급여를 산정하게 됩니다.

3개월치 급여는 600만 원이고 이중 2/3에 해당하는 400만 원은 급여로 지급되고 1/3에 해당하는 200만 원은 이듬해 5월 보험 및 세금으로 지급될 예정입니다.

 

따라서 급여 400만 원에 해당하는 만큼 현금에서 감소하게 되고 미지급금에 해당하는 200만 원은 늘어나게 됩니다.

또한 완제품 재고의 가치가 생산담당 직원에게 3개월간 지급하는 600만 원만큼 증가해서 9,600만 원이 됩니다. 

사건 8 : 생산대금 결제

10월 31일 : 생산업체에 생산대금 9,000만 원 현금으로 결제합니다.

사건 9 : 매출

11월 30일 : 납품회사와 계약한 조건대로 10월 31일. 개당 10,000원에 제품 10,000개를 납품했습니다. 대금 1억 원은 2개월 후에 받습니다. 

대금을 나중에 받게 되므로 제품 1만 개에 대한 외상매출금이 1억 원이 발생하게 됩니다.

1만 개는 전체 재고 1만 5,000개의 2/3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재고 가치 총 9,600만 원 중 2/3에 해당하는 6,400만 원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외상매출금과 재고 감소분 가치의 차이 3,600만 원은 매출 이익이 되고 자본금의 증가에 표시되게 됩니다.

 

사건 10 : 감가상각

12월 31일 : 제품개발장비의 감가상각을 진행합니다. 

1,000만 원 x 1/5 = 200만 원 –> 감가상각 이후 장비 가치 = 800만 원

00년 12월 31일 재무상태표이므로 1년치 감가상각 비용에 해당하는 200만 원을 고정자산에서 감소시키면 됩니다. 이것은 자기 자본금에서 똑같이 200만 원 감소가 됨으로써 밸러스가 유지되게 됩니다.

 

 

# 재무 상태표의 완성

 

00년 12월 31일 시점에서 납입 자본금 5억 원, 현재 남아있는 자기 자본금이 3억 5,400만 원이므로 1년간 활동한 결과 회사 X의 순손실은 1억 4,600만 원입니다. 재무상태표는 회사에 관한 풍부한 정보가 담겨 있지만 한계도 있습니다.

 

회사에서 제일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인력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 유능한 CEO가 회사를 떠나게 되어도 그리고 다시 복귀하게 되어도 재무상태표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돈카데미 소개

돈카데미 BLOG에서는 

  • 돈버는 돈지식
  • 돈버는 TOOL
  • 구글애드센스로 돈벌기
  • 제휴마케팅으로 돈벌기
  • 주식으로 돈벌기
  • 해외선물로 돈벌기

와 같은 실전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과 돈을 벌기 위해서 알아야하는 지식과 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돈을 제대로 알아서 돈을 지배하면서 부를 누릴 수 있는 삶을 원한다면 돈카데미 BLOG로 방문해 주세요~!

 

돈카데미 BLOG 바로가기

 

돈카데미 BLOG

돈을 제대로 이해해서 돈벌자! 돈카데미는 돈을 주제로 한 블로그 입니다. 돈을 벌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기술 돈에 대한 마인드 돈벌고 돈 쓰는 습관

doncadem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