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계산서의 작성원리
# INTRO
안녕하세요? 부자팩토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손익계산서 작성원리" 에 대한 주제를 다루어볼까합니다.
# 회사 X의 사건
사건 1 : 창업
1월 1일 : 창업자 A, B가 주식회사 X를 창업했습니다.
창업자 A 지분율 60% / 투자금 6,000만 원
창업자 B 지분율 40% / 투자금 4,000만 원
주식회사 X의 총 자본금 1억 원
각각 연봉 3,600만 원을 산정하고 실수령액ㅇ로 2/3에 해당하는 2,400만 원을 지급받습니다. 나머지 1/3에 해당하는 1,200만 원에 대한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50%에 해당하는 600만 원은 소득세로 납부되고 나머지 50%에 해당하는 600만 원은 보험료로 다음 해 5월 납부하기로 합의합니다.
사건 2 : 임대료와 비용
1월 2일 : 사무실을 임대 보증금 없이 월세 300만 원에 빌렸습니다. 그 외의 비용으로 월 100만 원을 지출했습니다.
사건 3 : 장비 구매
1월 15일 : 제품개발용 컴퓨터를 현금 1,000만 원에 구입했고 이 장비는 향후 5년간 사용될 계획입니다.
사건 4-1 : 급여 지급
1월 25일 : 창업자 A(CEO)월급 = 200만 원 / 창업자 B(CTO) 월급 = 200만 원
사건 4-2 : 세금과 보험료 산정
연봉의 나머지 1/3 중 절반은 소득세로 나머지 절반은 보험료로 이듬해 5월 납부합니다.
사건 5 : 제품 개발
6월 30일 : 첫 제품의 개발이 완료되었습니다. 1월~6월까지 6개월 간 매달 500만 원의 개발비를 투입했습니다. 총 개발비용 3,000만 원. 그 이후로도 연말까지 제품의 개선과 신제품 개발을 위해 월 500만 원을 지출했습니다.
사건 6 : 벤처캐피털(VC) 투자 유치 및 생산 담당 직원 채용
7월 31일 : 초기 스타트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벤처캐피털 업체 K벤처스가 4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생산을 담당할 직원 1명을 채용했습니다. 연봉 2,400만 원(실수령 연봉액 = 1,600만 원, 세금 및 보험료 800만 원)
사건 7-1 : 제품 생산
9월 30일 : 전문 생산업체에 9월 1일에 주문한 제품 1만 5,000개가 도착했습니다. 제품 생산가격은 개당 6,000원 이었고 생산 대금 9,000만 원은 1개월 후에 현금으로 결제합니다.
사건 7-2 : 생산담당 직원 급여 지급
10월 1일 : 생산담당 직원 급여 지급 200만 원(세금 및 보험료 포함)
사건 8 : 생산대금 결제
10월 31일 : 생산업체에 생산대금 9,000만 원 현금으로 결제합니다.
사건 9 : 매출
11월 30일 : 납품회사와 계약한 조건대로 10월 31일. 개당 10,000원에 제품 10,000개를 납품했습니다. 대금 1억 원은 2개월 후에 받습니다.
사건 10 : 감가상각
12월 31일 : 제품개발장비의 감가상각을 진행합니다.
1,000만 원 x 1/5 = 200만 원 –> 감가상각 이후 장비 가치 = 800만 원
# 회사 X의 손익계산서 작성
매출 구하기
- 매출 = 10,000개 x 10,000 원/개 = 1억 원 (참고 : 사건 9)
매출원가 구하기
- 생산비용 = 9,000만 원 (생산 15,000개 x 6,000원/개)
- 급여, 세금, 보험료 포함한 생산직원 인건비 = 600만 원 (200만 원/월 x 3개월)
- 전체 재고가치 = 생산비용 + 생산직원 인건비 = 9,000만 원 + 600만 원 = 9,600만 원
매출원가를 잡을 때는 00년에 총 15,000개의 제품을 생산했지만 판개마가 되어 매출에 기여한 것은 전체 재고의 2/3에 해당하므로 10,000 개의 제품에 해당하는 6,400만 원이 됩니다. (9,600만 원 x 2/3 = 6,400만 원)
매출이익 구하기
- 매출이익 = 매출 1억 원 = 매출원가 6,400만 원 = 3,600만 원
운영비용 구하기
- 사무실 임대료 = 3,600만 원 (임대료 월 300만 원 x 12개월)
- 기타 운영 비용 = 1,200만 원(월 100만 원 x 12개월)
- 제품개발비 = 6,000만 원 (월 500만 원 x 12개월)
- 창업자 2인의 세금과 보험을 포함한 급여 = 7,200만 원 (3,600만 원 x 2인)
- 제품 개발 장비 1년가치 감가상각비용 = 200만 원 (1,000만 원 x 1/5)
- 비용총합 = 3,600만 원 + 1,200만 원 + 6,000만 원 + 7,200만 원 + 200만 원 = 1억 8,200 만 원
매출원가는 아니지만 회사의 다른 활동도 회사의 매출에 간접적으로 기여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CEO, CTO의 급여, 사무실 임대료 등은 매출원가로 포함시키기에는 거리가 있지만 회사의 활동에 없어서는 안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을 “비용”이라고 부릅니다.
영업이익(손실) 구하기
- 영업손실 = 매출이익 3,600만 원 - 운영비용 1억 8,200만 원 = 1억 4,600만 원
이자비용 구하기
- 이자비용 = 0원 (회사 X는 은행차입금이 없음)
세전이익 구하기
- 세전이익 = 0원 (회사 X는 영업손실을 기록하였음)
법인세(20%기준) 구하기
- 세전이익 0원 x 0.2 = 0원 (영업 손실로 인해 세전이익 0원)
순이익 구하기
- 순이익(순손실) = (1억 4,600만 원)
이익이 없으므로 영업 손실이 순이익 항목에 해당하며 현재의 경우 회사 X의 순 손실은 1억 4,600만 원이 됩니다.
괄호( )부분은 마이너스의 개념입니다.
#돈카데미 소개
돈카데미 BLOG에서는
- 돈버는 돈지식
- 돈버는 TOOL
- 구글애드센스로 돈벌기
- 제휴마케팅으로 돈벌기
- 주식으로 돈벌기
- 해외선물로 돈벌기
와 같은 실전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과 돈을 벌기 위해서 알아야하는 지식과 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돈을 제대로 알아서 돈을 지배하면서 부를 누릴 수 있는 삶을 원한다면 돈카데미 BLOG로 방문해 주세요~!
doncadem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