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모델 설계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 연구
정작 기술과 제품 혁신에만 몰두하고 그에 합당한 비즈니스 모델에는 상대적으로 몰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매우 잘못된 것이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 기업이 어마어마한 실적을 기록한다.
구글의 비즈니스 모델
구글이 등장하기 이전 검섹엔진의 비즈니스 모델은 한 페이지에 가능한 많은 배너광고를 노출하고 가급적 높은 광고비를 부과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구글은 인터넷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따른 광고 검색 방식을 채택했고, 광고주들은 방문자와 광고 실적 데이터에 근거해 효과적인 광고 운영이 가능한 구글의 방식을 선호했다. 인터넷 공룡 기업을 탄생시킨 주역은 검색 알고리즘의 기술적 우위가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이다. 검색광고 시장을 연 기업은 오버추어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할 방법을 찾아 끈질기게 매달려서 시장지배력을 행사하는 기업은 구글이다.
가치획득을 위해 비즈니스 모델 설계에 투자해야 한다. 산업계에 표준으로 자리 잡은 모델에 의존하지 말고 혁신을 해야한다.
고객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모델은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내가 취할 수 있는 가치를 결정하는 기준과 방법이다. 비즈니스 모델은 가격체계가 아니다. 고객 가치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과 가격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변수
1. 고객
2. 가치 창출과 획득
내 비즈니스 모델과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 고객이 어느 단계에서 얼마만큼의 가치를 얻는지 평가해야 한다. 또한 고객 가치에 부합해 어느 정도의 가치를 어떤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
3. 경쟁자
4. 유통
최종사용자에 이르는 유통 경로가 제품 판매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공짜는비즈니스 모델이 아니다
"기본 서비스 무료 + 고급 서비스 유로", "투자금을 풀어 공짜를 제공한다음 사용자부터 확보하기", 이러한 것은 비즈니스 모델이 아니라 사용자를 끌어당기는 전략의 일부다. 공짜는 고객 획득 비용을 줄이는 전략의 일부로 채택 가능하다. 그러나 끌어당기는 것으로 끝이다. 공짜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비용은 계속 발생하고 그 비용을 충당하려면 자금원인 "실고객"이 있어야 한다.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은 사업인가?
첫 번째 실고객이 등장하기 까지 사업이라고 할 수 없다. 인스타그램의 첫번째 실고객은 페이스북이고 유튜브의 첫 번째 실고객은 구글이다. 물론 인스타그램, 유튜브 같이 많은 사용자를 확보한 복권은 때로는 성공적인 인수합병 대상이 되기도 한다.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
1. 요금 및 유지 보수비 일시불 선지급
2. 연간 또는 다년간 약정 사용료 부과
3. 월단위 계약 사용료 부과
4. 기술 이전
5. 소모품 의존
6. 고수익 제품으로 업셀링
7. 광고
8. 정보 제공 또는 한시적 접근
9. 거래 수수료
10. 종량제
11. 정액 요금제
12. 주차요금 혹은 범칙금
13. 소액 결제
14. 비용 절감 공유
15. 프랜차이즈
16. 유지 보수
제품을 만들지 않고 공장이나 다른 시설물을 관리하는 대가로 사업을 영위하는 모델이다. 에너지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채택하는 방식이다.
기존 모델을 뛰어넘는 모델의 개발
음악 다운로드 사이트 A는 알려지지 않은 음악은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고, 다운로드 횟수가 많아지면서 수요가 많아지면 비용이 올라가는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가격이 오르기 전에 사이트를 방문해 음악을 들어보고 다운로드 할 것인지 선택한다. 만약 추천한 음악이 인기를 얻어 가격이 올라가면 가격 상승폭의 50%를 돌려 받는다. 이 회사는 아마존에 인수합병 되었다.
스마트한 비즈니스 모델 구상에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 나머지 고객을 위한 가치 창출을 등한시 해서는 안된다. 비즈니스 모델은 가치 창출과 가치 획득의 균형을 이루야 한다.
일단 한번 비즈니스 모델을 정하면 바꾸기가 매우 어렵다. 가급적 경쟁자와의 차별성, 나아가 경쟁 우위를 보장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채택해야 한다. 경쟁자들이 자신의 비즈니스 모델을 바꾸면서까지 따라오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Rich 3 - 사업시스템 > 스타트업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프로세스 - 17 STEP / 고객이 주는 이익 계산 (0) | 2018.11.03 |
---|---|
스타트업 프로세스 - 16 STEP / 가격 체계의수립 (0) | 2018.11.02 |
스타트업 프로세스 - 14 STEP / 후속시장의 규모 전망 (0) | 2018.10.31 |
스타트업 프로세스 - 13 STEP / 고객의 구매결정 과정의 이해 (0) | 2018.10.30 |
스타트업 프로세스 - 12 STEP / 구매결정 영향권자 분석 (0) | 2018.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