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sts와 IP주소
IP주소는 복잡 도메인 주소는 간단
정보요청 컴퓨터(Client)와 정보제공 컴퓨터(Server)가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주소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이 IP주소라는 것이 93.184.216.34와 같은 기억하기 쉽지 않은 숫자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려면 매번 IP주소를 입력하기가 까다롭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93.184.216.34와 같은 IP주소를 입력하는 대신 boojafactory.com 이라는 도메인 네임 주소를 입력하고 서버에 접속하게 됩니다.
hosts 파일
모든 운영체제에는 hosts 파일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hosts 파일에 93.184.216.34 의 IP주소 = boojafactory.com 이라고 적어놓으면 Client 컴퓨터가 웹브라우저에 boojafactory.com이라고 입력을 하면 hosts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boojafactory.com의 IP주소에 해당하는 컴퓨터로 접속을 할 수 있게 됩니다.
hosts 파일의 위치(윈도우)
1 STEP : hosts 파일을 수정할때 해킹의 위험이 있으니 관리자 권한을 가지는 메모장으로 여는 것이 좋습니다.
2 STEP : 메모장 아이콘에서 마우스 우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관리자 권한의 메모장은 매우 강력한 권한을 가집니다.)
3 STEP : 열기 --> C 드라이버 --> windows --> System32 --> drivers --> etc --> 텍스트 문서(*.txt)가 아닌 모든파일 선택 --> hosts 파일 클릭
4 STEP : 내용 가장 하단에 나의 서버 IP주소와 그에 해당하는 사용가능한 도메인 주소(예 : example.com)를 입력하고 컨트롤 + S 저장
그러면 웹브라우저에 example.com 이라고 입력하면 내가 연결시킨 IP주소에 해당하는 웹페이지가 열리게 됩니다.
'컴퓨터와 친해지기 > D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Public DNS (0) | 2018.12.05 |
---|---|
#05 DNS의 원리 (0) | 2018.12.04 |
#04 DNS 이전의 통신 프로세스 (0) | 2018.12.03 |
#03 hosts 파일의 해킹과 보안 (0) | 2018.12.02 |
#01 Domain Name System(DNS) (0) | 2018.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