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우드펀딩 진행 절차
일반적으로 크라우드펀딩 중개 플랫폼은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증권발행기업의 비즈니스모델 개발과정을 공개하고 이를 통해 투자자와 스타트업 기업이교류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공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크라우드펀딩에 투자자들이 참여하고 결과를 확인하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크라우드펀딩을 신청한 스타트업은 사업화 정보를 투자자에게 공개하는 절차를 가지게 되며 크라우드펀딩 중개플랫폼은 실제로 투자가 진행되는 절차를 제공하게 됩니다.
사업화 정보를 공개하는 공간을 "메이킹"이라고 합니다. "메이킹"공간이 스타트업 또는 기업에게 있어서 창업자는 비즈니스 모델을 완성해가는 공간, 기존회사는 제품의 경쟁력을 인정받는 공간, 투자자와 바이어를 만나는 공간, 투자자와 바이어의 신뢰를 얻는 공간, 투자유치의 성패가 좌우되는 공간, 컨설팅 회사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공간, 참여기업 간 융합이 일어나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부여합니다. 즉 투자자들에게 투자를 받는 절차 시작하기 투자자들에게 기업가치를 어필하는 공간입니다. 펀딩 전에 투자자들에게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지지를 받는 모든 절차는 메이킹에서 이루어집니다.
프로젝트 신청시 회사정보를 입력한 후 프로젝트 소개 및 펀딩을 통해 달성하고 싶은 목표 등 투자자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이미지, 동영상 등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등록합니다. 투자자인 회원들이 가장 먼저 확인하는 페이지로 성의껏 작성해야 합니다. 스타트업은 제품개발, 패키지제작, 시제품제작, 판로개척 등 메이킹 과정 동안 펀딩을 위한 준비 및 진행과정을 자주 업데이트 해야 합니다. 메이킹 완료 후 소정의 절차를 거쳐 펀딩을 진행하게 되는 스타트업은 회사정보 기업개요, IR자료,, 투자계약서 샘플 등을 등록하게 됩니다. 펀딩이 진행되는 동안 사업진행현황을 업데이트하고 투자자들과 투자에 관한 소통의 과정을 진행합니다.
목표투자액이 80% 이상 달성되거나 혹은 투자유치기간이 종료되고 크라우드펀딩의 성공 / 실패가 결정되면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서는 실패 시 투자금을 투자자들에게 반환하고 성공 시 웹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투자계약의 체결을 지원하며 체결된 계약서에 의해 발행된 증권은 투자자와 스타트업의 정보와 함께 중앙관리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 송부됨으로써
절차가 완료됩니다.
- 크라우드펀딩 진행절차 - 1. 메이킹 개설2. 메이킹 진행3. 최종심사4. 펀딩 개설하기5. 크라우드펀딩 진행6. 펀딩성공 시 투자7. 보상 |
푸드 메이킹 절차
1. 회사정보 입력하기
프로젝트 신청이 승인 되면 메이킹 개설이 가능합니다. 신청 시 입력된 회사정보를 확인하고 수정 및 추가 입력을 합니다.
2. 프로젝트 소개하기
프로젝트 소개 및 펀딩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 등 투자자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이미지, 동영상 등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등록합니다. 회원들이 가장 먼저 확인하는 페이지로 성의껏 작성해야 합니다.
3. 메이킹 설정하기
프로젝트를 4단계에 걸쳐 제시하고 각 단계별로 달성현황이 표시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잠재고격 창출 및 유통연계의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ex) 제품개발 --> 패키지제작 --> 시제품제작 -->판로개척
4. 메이킹브리핑 업데이트 하기
메이킹 과정 동안 펀딩을 위한 다양한 준비과정을 수시로 업데이트 합니다. 회사 및 제품에 대한 새로운 소식을 알립니다. 투자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신뢰를 쌓아나가며 투자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단계입니다
펀딩 진행절차
1. 회사정보 입력
프로젝트 신청이 승인되면 목표금액, 모집기간을 산정합니다.
2. 기업개요 입력
프로젝트 소개 및 펀딩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 등 투자자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이미지, 동영상 등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등록합니다. 회원들이 가장 먼저 확인하는 페이지로 목표 및 자금사용계획 등 투자자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정성을 다해 작성해야 합니다.
3. IR자료 입력
기업이력, 사업계획, 재무현황, 핵심역량 등 투자 정보를 자세하게 작성합니다. IR자료의 경우 실제 투자를 진행하고자 하는 회원에게만 공개되는 자료입니다.
4. 사업진행현황 업데이트
모집기간부터 펀딩기간까지 계약관련 변동현황, 매출현황 등 사업진행 현황을 주기적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분기별 2회 이상) 기업과 투자자가 신뢰를 바탕으로 원활한 교류를 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5. 계약서샘플 등록 및 문의
투자계약 조건 설정 후 펀딩 성공 시 발행할 투자증권 샘플을 등록합니다. 모집기간 동안 투자관련 문의를 하는 곳으로 빠른 답변을 통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Rich 3 - 사업시스템 > (자금조달)크라우드 펀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라우드 펀딩 - 6 / 크라우드 펀딩의 성공을 위하여 (0) | 2018.11.05 |
---|---|
크라우드 펀딩5 / 크라우드 펀딩의 장점과 리스크 (0) | 2018.09.29 |
크라우드 펀딩3 / 투자금액과 유의사항 (0) | 2018.09.28 |
크라우드 펀딩2 / 크라우드 펀딩법과 펀딩 구조 (0) | 2018.09.28 |
크라우드 펀딩1 / 크라우드 펀딩과 유형 (2) | 2018.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