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표에 대한 이해
재무상태표의 좌우는 균형을 이룬다.
재무상태표에는 한 시점에서 회사의 재무상태가 나타나 있다. 재무상태표의 왼쪽에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 오른쪽에는 갚아야 할 부채와 자본이 표시된다. 자산 = 부채 + 자본 으로 좌변과 우변은 균형을 이룬다. 창업을 하여 회사가 자금을 빌리고 투자자에게 투자를 받으면 회사에는 현금이라는 "자산"이 생긴다. 부채는 빌려준 사람에게 원금+이자의 형태로 갚아야할 돈이고 투자자에게는 회사의 소유권인 지분을 주는 것이다. 소유주가 회사를 정리하면 자산을 모두 현금으로 바꿔서 부채를 갚고 남는 것을 갖게 된다. 회사가 컴퓨터를 구매했다고 하면 현금은 줄고 컴퓨터라는 자산이 생긴다. 이 경우 재무상태표의 왼쪽은 자산의 형태가 현금에서 장비로 바뀌는 것이므로 자산의 전체 크기는 변화가 없다. 오른쪽 부채와 자본도 변화가 없다. 결국 컴퓨터 구매 전후에 재무상태표의 오른쪽, 왼쪽 모두 변화는 없다.
이와같이 재무상태표는 오른쪽에는 자금을 어떻게 조달했는지(부채, 자본)을 나타내고 왼쪽에는 조달한 자금을 어디에 적용했는지(자산)를 나타낸 표라고 할 수 있다.
사건 1 : 창업자가 자신의 현금 100만 원으로 창업했다
자산(현금) 100만 원 |
자본금 100만 원 |
이런 경우 회사는 100만 원의 현금이 생기는 대신 자본금 100만 원이 생겨서 자본금을 낸 사람이 회사의 소유권을 갖는다.
사건 2 : 은행에서 50만 원을 대출했다.
자산(현금) 150만 원 | 부채 50만 원 + 자본금 100만 원 |
사건 3 : 장비를 60만 원의 현금으로 구매했다.
자산(현금) 90만 원 + 자산(장비) 60만 원 | 부채 50만 원 + 자본금 100만 원 |
이 경우 재무상태표의 왼쪽에서 회사가 빌린 돈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자산의 합계에는 변화가 없다. 이와 같이 받은 것이 있으면 줄 것이 있으므로 재무상태표의 좌우는 항상 같게 된다.
자산에는 가지고 있는 현금과 주식, 다른사람에게 빌려준 상태의 받을 돈, 자동차, 주택, 토지 등이 있다. 부채에는 은행에서 빌린돈, 신용카드 빚 등이 있다. 재산의 정도는 자산과 부채의 차이인 순 자산으로 표시되고 이 순자산이 회사의 자본에 해당한다.
재무상태표의 내용
재무상태표(수평형)
유동자산 |
|
유동부채 |
|
현금 |
|
외상매입금 |
|
외상매출금 |
|
단기차입금 |
|
재고 |
|
미지급금 |
|
기지급금 |
|
장기차입금 |
|
비유동자산 |
|
|
|
고정자산 |
|
자기자본금 |
|
무형자산 |
|
이익잉여금 |
|
재무상태표(수직형)
유동자산 |
|
현금 |
|
외상매출금 |
|
재고 |
|
기지급금 |
|
비유동자산 |
|
고정자산 |
|
무형자산 |
|
유동부채 |
|
외상매입금 |
|
단기차입금 |
|
미지급금 |
|
장기차입금 |
|
| |
자기자본금 |
|
이익잉여금 |
|
자산
유동자산
맨 위에는 현금과 현금에 상당하는 예금, 주식, 국채, 회사채권 등이 기입된다. 다음에는 외상매출금이 나오는데 이것의 의미는 회사가 매출을 올렸지만 아직 현금화되지 않은 자산으로 고객이 회사에 대해 지고 있는 부채를 말한다. 재고에는 원자재와 제품을 만드는 도중의 재고인 재공재고, 완제품재고가 있다. 기지급금은 예를 들어 사무살의 임대료 1년치를 선불한 경우를 말한다. 즉 유동자산란은 1년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하다고 보는 항목을 나타낸다.
비유동자산
고정자산
무형자산
부채
빨리 갚아야 하는 부채부터 위쪽에 쓴다.
유동부채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를 말하며 외상매입금, 단기차입금, 미지급금이 있다. 미지급금에는 세금, 직원의 고용보험 등 공제는 해놓지만 아직 납부기한이 돌아오지 않은 경우가 해당된다
장기부채
상환 의무기간이 1년보다 긴 장기부채를 말한다.
자본
자기자본금에는 회사의 주주들이 투자한 투자금이 있고 영업활동에서 벌어들인 순이익 중 주주에게 가는 배당금을 빼고 남은 이익잉여금이 포함된다. 투자자가 회사의 주식을 액면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회사에 투자했다면 액면가 이상으로 회사에 들어온 돈을 주식발행 잉여금이라는 항목으로 별도로 관리한다. 주주들이 보유할 수 있는 주식은 보통주와 우선주가 있으며 창업자들은 보통주를 소유하게 되고 벤처캐피털과 같은 외부투자자들은 우선주를 소유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는 대신 우선회수권 등과 같은 권리를 갖게 된다. 자기 자본금은 주주가 회사를 정리한 다면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아니다. 왜냐하면 자산들의 가치는 보수주의에 의거해서 현재 시장가가 아닌 구매당시 가격으로 기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사를 청산할 때는 가치상승분을 고려해서 산정하게 된다.
재무상태표의 목적
재무상태표의 오른쪽
회사가 어떻게 자금을 조달했는지 볼 수 있다. 즉, 은행에서의 차입금, 투자자로부터 유치한 조본금, 공급자로부터의 외상 매입금이 포함된다. 공급처에서 원자재를 공급받았고 30일 이후에 대금을 결제한다면 사실상 공급처가 30일 간 회사에 돈을 빌려준 셈이기 때문이다.
재무상태표의 왼쪽
회사가 조달한 자금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다. 조달한 "군자금"으로 어떤 "무기"를 조달해서 비즈니스라는 전쟁터에 경쟁사와 싸워 이기려 하는지 보인다. 즉 소총, 탱크, 핵무기와 같이 현금, 장비, 공장등에 투자를 하는 것이다.
창업가는 손익계산서가 가장 먼저 보고 싶겠지만 투자자, 은행가, 경험이 풍부한 기업가는 재무상태표를 제일 먼저 본다. 그만큼 재무상태표에는 회사와 관련한 풍부한 정보가 담겨있다. 예를 들어 회사가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지는 유동 자산, 특히 현금이 유동 부채보다 많은지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리고 회사의 이전 재무상태표와 비교를 해서 자본금이 추가적인 투자유치나 차입금 없이 자라나고 있는지를 보면 회사가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재무 상태표의 작성
사건 1 : 창업
1월 1일 : 창업자 A, B가 회사 X를 창업했다. 창업자 A 지분율 = 60%, 투자금 6000만 원, 창업자 B 지분율 = 40%, 투자금 4000만 원, 회사 자본금 1억원
각각 연봉 3600만 원을 산정하고 실수령액으로 2/3에 해당하는 2400만 원을 지급받는다. 나머지 1/3에 해당하는 1200만 원은 50%에 해당하는 600만 원은 소득세로 납부되고 나머지 50%에 해당하는 600만 원은 보험료로 다음 해 5월 납부하기로 합의했다.
사건 |
현금 |
외상 매출금 |
재고 |
고정자산 |
외상 매입금 |
미지급금 |
자기 자본금 |
1 |
100 |
|
|
|
|
|
100 |
00년 1월 1일 창업된 당일 회사에는 1억 원의 현금이 있고 이것은 두명의 창업자가 출자한 자본금이다. 따라서 재무상태표의 왼쪽에는 현금 1억원, 오른쪽에는 자본금 1억 원이 표시된다.(단위 100만 원) 이처럼 재무상태표는 왼쪽에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형태(현금)와 크기(1억 원), 오른쪽에 그 자산을 위해 자금을 어떻게 조달했는지 보여준다. 그리고 재무상태표는 한 시점인 00년 1월 1일의 재무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회사에서 벌어지는 재무적 활동 하나하나에 따라 재무상태표는 계속 변화를 거듭하게 된다.
사건 2 : 임대료와 비용
1월 2일 : 사무실을 임대 보증금 없이 월세 300만 원에 빌렸다. 그 외의 비용으로 월 100만 원을 지출했다.
사건 | 현금 | 외상 매출금 | 재고 | 고정자산 | 외상 매입금 | 미지급금 | 자기 자본금 |
| 100 |
|
|
|
|
| 100 |
2 | (48) |
|
|
|
|
| (48) |
| 52 |
|
|
|
|
| 52 |
00년 12월 31일의 재무상태표를 만드는 것이므로 1월~12월까지 12개월 간 지출된 임대료와 기타경비는 (300만 원 + 100만 원) x 12 = 4800만 원이다. 따라서 현금은 전 단계의 1억 원에서 4,800만 원 감소해 5,200만 원이 남는다. 자본금도 같은 금액만큼 감소한다.
사건 3 : 장비 구매
1월 15일 : 제품개발용 컴퓨터를 현금 1,000만 원에 구입했고 이 장비는 향후 5년간 사용될 예정이다.
사건 | 현금 | 외상 매출금 | 재고 | 고정자산 | 외상 매입금 | 미지급금 | 자기 자본금 |
| 52 |
|
|
|
|
| 52 |
3 | (10) |
|
| 10 |
|
| |
| 42 |
|
| 10 |
|
| 52 |
제품개발용 컴퓨터를 현금 1,000만 원에 구입했다. 이 장비는 앞으로 5년 간 쓰일 것이다. 이로 인해 현금이 1,000만 원 줄어들고 대신 같은 가치의 고정자산이 생겼다. 표의 오른쪽에는 변화가 없다. 즉 좌변과 우변은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다.
사건 4-1 : 급여 지급
1월 25일 : 창업자 A(CEO) 월급 = 200만 원, 창업자 B(CTO) 월급 = 200만 원
사건 4-2 : 세금과 보험료 산정
연봉의 나머지 1/3 중 절반은 소득세로 나머지 절반은 보험료로 이듬해 5월 납부한다.
사건 | 현금 | 외상 매출금 | 재고 | 고정자산 | 외상 매입금 | 미지급금 | 자기 자본금 |
| 42 |
|
| 10 |
|
| 52 |
4-1 | (48) |
|
|
|
|
| (48) |
4-2 |
|
|
|
| 24 | (24) | |
(6) | 10 | 24 | (20) |
창업자 두 사람의 연봉 각각 3600만 원 중 2/3를 본인들에게 지급했다. 따라서 연말까지 자본금이 4,800만 원 감소한다.
회사는 연봉의 나머지 1/3에 해당하는 2,400만 원을 세금과 보험료로 이듬해 5월에 납부한다. 회사가 2,400만 원을 다음 해 5월 납부할 예정이므로 현금의 변화는 없고 오른쪽에서 미지급금이 2,400만 원 생기고 자본금이 2,400만 원 감소하게 된다. 현재 재무제표는 00년 12월 31일 기준이므로 현재의 시점이 아니다. 현재는 회사에 현금이 남아있는 상태이고 연말 기준으로 현금이 마이너스가 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자본 조달을 통해 플러스로 만들어야 회사가 생존할 수 있다.
사건 5 : 제품 개발
6월 30일 : 첫 제품의 개발이 완료되었다. 1월~6월까지 6개월 간 매달 500만 원의 개발비를 투입했다. 총 개발비용 3000만 원. 그 이후로도 연말까지 제품의 개선과 신제품의 개발을 위해 월 500만 원을 계속 지출했다.
사건 | 현금 | 외상 매출금 | 재고 | 고정자산 | 외상 매입금 | 미지급금 | 자기 자본금 |
| (6) |
|
|
|
| 24 | (20) |
5 | (60) |
|
|
|
|
| (60) |
| (66) |
|
| 10 |
| 24 | (80) |
한 달 제품개발 비용 = 500만 원이므로 12개월 간 제품개발 비용은 6,000만 원이 지출되었다. 따라서 현금이 6,000만 원 감소하고 자기 자본금도 같은 액수만큼 줄어든다.
사건 6 : 벤처캐피털(VC) 투자 유치 및 생산 담당 직원 채용
7월 31일 : 초기 스타트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벤처캐피털 업체 K벤처스가 4억 원을 투자했다.
생산을 담당할 직원 1명을 채용했다. 연봉 2400만 원(실수령 연봉액 = 1600만 원, 세금 및 보험료 800만 원)
사건 | 현금 | 외상 매출금 | 재고 | 고정자산 | 외상 매입금 | 미지급금 | 자기 자본금 |
| (66) |
|
| 10 |
| 24 | (80) |
6 | 400 |
|
|
|
|
| 400 |
| 334 |
|
| 10 |
| 24 | 320 |
사건 7-1 : 제품 생산
9월 30일 : 센서 전문생산업체에 9월 1일에 주문한 제품 1만 5000개가 도착했다. 제품 생산가격은 개당 6,000원 이었고 생산 대금 9000만 원은 1개월 후에 현금으로 결제한다.
사건 7-2 : 생산담당 직원 급여 지급
10월 1일 : 생산담당 직원 급여 지급 200만원(세금 및 보험료 포함)
사건 | 현금 | 외상 매출금 | 재고 | 고정자산 | 외상 매입금 | 미지급금 | 자기 자본금 |
| 334 |
|
| 10 |
| 24 | 320 |
7-1 | 400 |
| 90 |
| 90 |
|
|
7-2 | (4) |
| 6 | 10 |
| 2 | |
330 |
| 96 | 10 | 90 | 26 | 320 |
생산담당 직원의 연봉은 2,400만 원이고 00년 12월 31일 재무제표이기 때문에 3개월치 급여를 산정한다. 3개월 치 급여는 600만 원이고 이중 3/2에 해당하는 400만 원은 급여로 지급되고 1/3에 해당하는 200만 원은 이듬해 5월 보험 및 세금으로 지급될 예정이다. 따라서 급여 400만 원에 해당하는 만큼 현금에서 감소가 이루어지고 미지급금에 해당하는 200만 원은 늘어나게 된다. 또한 완제품 재고의 가치가 생산담당 직원에게 3개월간 지급하는 600만 원만큼 증가해서 9,600만 원이 된다.
사건 8 : 생산대금 결제
10월 31일 : 생산업체에 생산대금 9,000만 원 현금으로 결제했다.
사건 | 현금 | 외상 매출금 | 재고 | 고정자산 | 외상 매입금 | 미지급금 | 자기 자본금 |
| 330 |
| 96 | 10 | 90 | 26 | 320 |
8 | (90) |
|
|
| (90) |
| |
| 240 |
| 96 | 10 |
| 26 | 320 |
사건 9 : 매출
11월 30일 : 얼리어댑터 회사가 10월 31일 개당 1만 원에 주문한 제품 1만 개를 납품했다. 대금 1억 원은 2개월 후에 받는다.
사건 | 현금 | 외상 매출금 | 재고 | 고정자산 | 외상 매입금 | 미지급금 | 자기 자본금 |
| 240 |
| 96 | 10 |
| 26 | 320 |
9 |
| 100 | (64) |
|
|
| 36 |
| 240 | 100 | 32 | 10 |
| 26 | 356 |
대금을 나중에 받으므로 제품 1만 개에 대한 외상매출금이 1억 원 생겼고, 1만 개는 전체 재고 1만 5천개의 2/3를 차지한다. 따라서 재고 가치 총 9,600만 원 중 2/3에 해당하는 6,400만 원이 감소했다. 따라서 외상매출금과 재고 감소분 가치의 차이 3,600만 원은 매출 이익이 되고 자본금의 증가에 표시된다.
사건 10 : 감가상각
12월 31일 : 제품개발장비의 감가상각을 했다 1,000만 원 X 1/5 = 200만 원 --> 감가상각 이후 장비 가치 = 800만 원
사건 | 현금 | 외상 매출금 | 재고 | 고정자산 | 외상 매입금 | 미지급금 | 자기 자본금 |
| 240 | 100 | 32 | 10 |
| 26 | 356 |
10 |
|
| (2) |
|
| (2) | |
| 240 | 100 | 32 | 8 | 0 | 26 | 354 |
00년 12월 31일 재무제표이므로 1년치 감가상각 비용에 해당하는 200만 원을 고정자산에서 감소시키면 된다. 이것은 자기 자본금에서 똑같이 200만 원 감소가 됨으로써 밸러스가 유지된다.
재무상태표의 완성
자산 |
부채와 자본 |
||
현금 |
240 |
외상매입 |
0 |
외상매출 |
100 |
미지급금 |
26 |
재고 |
32 |
자본금 |
500 |
고정자산 |
8 |
이익잉여금 |
(146) |
자산 총계 |
380 |
부채와 자본 총계 |
380 |
00년 12월 31일 시점에서 납입자본금 5억 원, 현재 남아있는 자기 자본금이 3억 5,400만 원 이므로 1년간 활동한 결과 회사 X는 순손실은 1억 4,600만 원이다. 재무상태표는 회사에 관한 풍부한 정보가 담겨 있지만 한계도 있다. 회사에서 제일 중요한 요소중 하나인 인력에 대한 정보가 없다. 유능한 CEO가 회사를 떠나게 되어도 그리고 다시 복귀를 하게 되어도 재무상태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Rich 2 - 재무지식 > 스타트업 재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재무 #06) 재무비율 가공 (0) | 2018.10.19 |
---|---|
(스타트업 재무 #05) 재무 용어 정리 (0) | 2018.10.18 |
(스타트업 재무 #04) 현금흐름표에 대한 이해 (0) | 2018.10.14 |
(스타트업 재무 #03) 손익계산서에 대한 이해 (0) | 2018.10.13 |
(스타트업 재무 #01) 스타트업 재무의 기초 (0) | 2018.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