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재무계획 세우기
재무 계획의 목적
스타트업은 창업 초기부터 실현 가능하고 현실성 있는 재무 계획을 세워서 실천해나가야 한다. 재무 계획을 통해서 창업자는 필요한 자금의 규모와 시기를 알 수 있고 이에 따른 투자유치 계획도 세울 수 있다.
스타트업은 초기에 매출은 없이 비용을 지출해야 되는 기간이 있고, 매출이 생기고 늘어나기 시작하면 이에 맞춰 생산량을 늘리거나 물품의 구입을 늘려가면서 재고도 관리해야 한다. 스타트업의 업무가 늘어나면서 각 부문의 인원도 늘려야 하고 인원의 증가에 따라 급여도 늘어나고 직원이 일할 수 있는 공간도 확보해야 한다. 회사규모가 커짐에 따라 지출되는 비용도 늘어나게 된다. 회사의 사업에 필요한 투자도 고려해야 하는데 생산 장비의 구매, 제품 설계에 쓰이는 컴퓨터의 구입이 이에 해당한다. 스타트업 초기에는 매출 없이 비용 지출이 계속되는 기간이 있고, 일반적으로 거래가 외상으로 이루어지므로 현금흐름을 예측하여 필요한 시기에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의 여부도 재무 계획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된다.
창업자는 재무 계획을 통해 스타트업의 성장에 필요한 인원, 자금 등 자원의 조달 계획을 세우고 목표한 마일스톤에 도달할 때까지 현금이 부족하지 않도록 비용의 지출계획을 세우고 지켜나가게 된다. 마일스톤이란 스타트업이 성장과정에서 반드시 도달해야 할 중요한 목표(제품생산, 시장진출, 경영진 영입 )를 의미하며 마일스톤의 달성없이 투자유치는 불가능하다.
재무 계획 세워보기(생산계획, 인력채용 계획, 비용계획, 장비구매 계획)
00년도 창업 첫해를 무사기 넘기고 두 번째 해인 01년을 맞은 기업 X의 창업자는 회사의 성장과 관리를 위해 01년도 재무 계획을 설계한다. 지난해 출시된 제품은 뛰어난 성능을 보여 고객사는 매우 만족했으며 주문량을 늘리겠다고 했다. 두 번째, 세 번쨰 고객사도 주문을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기업 X의 매출 계획과 생산 계획
연도 |
01년도 |
|||||
매출/생산 계획 |
단위 |
Q1 |
Q2 |
Q3 |
Q4 |
합계 |
매출물량 |
(1,000개) |
18 |
39 |
60 |
96 |
213 |
판매단가 |
(1,000원) |
9.50 |
9.50 |
9.50 |
9.50 |
|
매출액 |
(100만 원) |
171 |
371 |
570 |
912 |
2,024 |
생산물량 |
(1,000개) |
19 |
46 |
67 |
108 |
240 |
재고물량 |
(1,000개) |
6 |
13 |
20 |
32 |
|
사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적정 재고 수준을 정하면 분기당 생산량이 나온다. 기업 X의 경우 재고는 1개월 판매량에 해당하는 완제품 재고량을 유지한다고 가정하고 분기당 생산 계획이 정해졌다.
기업 X의 창업년도인 00년 연말에는 5,000개의 재고가 있었고 19,000개의 생산 계획을 수립하여 생산하여 18,000개를 판매하므로 6,000개의 재고를 갖게 된다.즉 재고물량 = (생산물량 + 이전 재고 물량) - 판매물량(매출물량) 을 해주면 된다. 현실적으로는 분기보다 월별 재무 계획을 세우는것이 바람직하다.
기업 X의 인력채용 계획 (단위 100만 원, 100명)
연도 | 01년도 | |||||
인력계획 | 연봉 | Q1 | Q2 | Q3 | Q4 | 합계 |
경영진 | 72 | 3 | 3 | 3 | 3 |
|
경영진 총 인건비 |
| 54 | 54 | 54 | 54 | 216 |
비생산직 직원 |
|
|
|
|
|
|
영업마케팅 | 48 | 1 | 2 | 3 | 4 | 10 |
개발 | 48 | 1 | 2 | 3 | 4 | 10 |
총무 | 48 | 1 | 1 | 2 | 3 | 7 |
비생산직 직원 총 인원수 |
| 3 | 5 | 8 | 11 | 27 |
비생산직 직원 총 인건비 |
| 36 | 60 | 96 | 132 | 324 |
생산직 직원 |
| 1 | 2 | 2 | 3 |
|
생산직 총 인건비 | 48 | 12 | 24 | 24 | 36 | 96 |
총 인원수 |
| 7 | 10 | 13 | 17 |
|
총 인건비 |
| 102 | 138 | 174 | 222 | 636 |
현재 회사 X는 창업자 2명 기존 연봉이 각각 3600만 원 이었으나 100%인상한 7200만 원이 되었다. 그리고 신규 경영진 1명을 추가로 영입하였고 연봉은 7200만 원으로 책정했다. 연봉의 2/3는 매달 급여의 형태로 지급되고 1/3은 세금과 보험료이므로 이듬해 5월 납부한다. 그러면 경영진 1명 당 월 600만 원이 소요되고 3명이기므로 1,800만 원이 소요된다. 따라서 Q1에는 5,400만 원이 소요된다.
전 직원의 급여도 비정상적으로 낮았던 00년기준 연봉 2,400만 원에서 01년에는 100%인상한 4,800만 원이 되고 연봉의 2/3는 매달 급여의 형태로 지급되고 1/3은 세금과 보험료이므로 이듬해 5월 납부한다.
회사 X가 00년에 창업하여 두 창업자 이외에 단 한사람의 직원을 채용하여 초기 생산 및 매출을 일으켰으나 이는 지속가능한 인원 구조가 아니고 01년에는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서 인원도 적극적으로 채용할 필요가 생겼다. 직원 수는 00년 3명에서 01년 17명으로 늘리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기업 X의 비용 계획 (단위 : 100만 원)
연도 | 01년도 | |||||
운영비용 | Q1 | Q2 | Q3 | Q4 | 합계 | |
제품개발 | 24 | 24 | 24 | 24 | 96 | |
사무실 임대 | 14 | 14 | 14 | 14 | 56 | |
기타비용 | 12 | 12 | 12 | 12 | 48 | |
총 운영비용 | 50 | 50 | 50 | 50 | 200 |
비용은 직원의 숫자에 대략 비례하니 비용 절약을 위해 직원 채용은 신중하게 할 필요가 있다. 재품의 개선과 신제품의 개발에 매 분기당 2,400만 원이 소요된다. 인원의 증가에 대비하여 01년 1월 새로운 사무실을 빌려 이사했다. 임대보증금은 없으며 임대료는 분기당 1,400만 원이다. 그리고 기타 비용이 분기당 1,200만 원이 들어간다.
기업 X의 장비 구매 계획 (단위 : 100만 원)
연도 | 01년도 | ||||
고정자산 | Q1 | Q2 | Q3 | Q4 | |
신규 장비구매 | 100 |
|
|
| |
누적 장비구매 | 110 | 110 | 110 | 110 | |
누적 감가상각 | 8 | 13 | 19 | 24 | |
순 장비가치 합계 | 103 | 97 | 92 | 86 |
장비구매와 같은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00년에 1,000만 원으로 장비를 구매했고, 01년에는 1억 원을 장비구매에 투자할 계획이다. 모든 장비를 5년 감가상각 기간으로 상각하면 01년말 현재 기준으로 00년에 구입했던 장비는 1년 200만 원씩 2번의 감가상각을 해서 600만 원의 장부가를 가지고 있다. 01년에 구입한 장비는 8,000만 원의 장부가를 갖게 된다. 따라서 01년 말 장비의 총 장부가는 8,600만 원이 된다.
기업 X의 재무활동을 고려하지 않은 현금흐름표 (단위 100만 원)
연도 | 01년도 | ||||
현금흐름 | Q1 | Q2 | Q3 | Q4 | |
기초의 현금 | 240 | 109 | (25) | (84)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
| |
매출 수금 | 157 | 238 | 437 | 684 | |
생산비 지불 | (70) | (204) | (330) | (519) | |
비용 | (50) | (50) | (50) | (50) | |
급여 지급 | (68) | (92) | (116) | (148) | |
세금과 보험료 |
| (26) |
|
| |
영업활동 현금흐름 증감 | (31) | (134) | (59) | (33) |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
| |
장비 | (100) |
|
|
| |
투자활동 현금흐름 증감 | (100) |
|
|
|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
| |
시드펀딩 |
|
|
|
| |
밴처캐피털 시리즈 A |
|
|
|
| |
벤처캐피털 시리즈 B |
|
|
|
| |
재무활동 현금흐름 증감 |
|
|
|
| |
총 현금흐름 증감 | (131) | (134) | (59) | (33) | |
기말의 현금 | 109 | (25) | (84) | (117) |
매출 수금 항목 계산
한 달 매출액이나 생산물량은 1분 기준으로 1/3로 계산하는 것을 전제로 하자. 1분기의 매출이 1억 7,100만 원이고 수금은 매출 발생 2개월 후에 이루어지므로 분기 매출의 1/3인 5,700만 원만 수금이 된다. 즉 1월 매출 5,700만 원, 2월 매출 5,700만 원, 3월 매출 5,700만 원인데 1분기에 수금할 수 있는 금액은 1월 매출분 5,700만 원이 되고 2월 매출분은 4월에 수금, 3월 매출은 5월에 수금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지난해의 매출 1억 원이 수금되므로 01년 1분기에 수금되는 매출액은 (1월 매출액 5,700만 원) + (작년 매출 수금액 1억원) = 1억 5,700만 원이 된다.
생산비 지불 항목 계산
01년 생산 단가는 개당 5,500원이다. 1분기에 1만 9,000개를 생산했고 지불해야할 총 생산비는 (5,500원/개) x (19,000개) = 104,500,000원 = 104.5 백만 원이 된다. 1월 생산비 = 104.5 백만 원 x 1/3, 2월 생산비 = 104.5 x 1/3, 3월 생산비 = 104.5 x 1/3 이고 생산비 지불은 1개월 이후에 지불하기 때문에 1월 생산비는 2월에 지불, 2월 생산비는 3월에 지불, 3월 생산비는 4월에 지불한다. 즉 1분기 생산비 항목에는 1월 생산비 + 2월 생산비 가 기록된다. 그러므로 1분기에 지불해야할 생산비용은 104.5 x 2/3 = 69,666,667원 = 약 7,000만 원이 된다.
급여 지급 항목 계산
Q1 급여의 경우 102 백만 원(1억 2백만 원)에서 2/3는 급여의 형태로 나가고 1/3은 세금+보험료로 나가기 때문에 1억 2백만원의 2/3에 해당하는 6,800만 원이 지출된다.
현금흐름표를 통한 자본 조달 계획 수립
현금 흐름표를 작성해보니 자금 조달이 없는 상태에서 2분기에 접어들면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게 됨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자본이 말라버리는 상황이 오게 되고 회사는 추가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 창업자 자금 1억 원, 시리즈 A 투자에서 4억 원이 다 소진되었다. 회사 성장을 위해 적정 자금 조달의 규모로 10억 원을 산정하고 01년 초 벤처캐피털 시리즈 B 투자유치를 하기로 결정했다.
기업 X의 재무활동을 포함한 현금 흐름표
연도 | 01년도 | ||||
현금흐름 | Q1 | Q2 | Q3 | Q4 | |
기초의 현금 | 240 | 1,109 | 975 | 916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
| |
매출 수금 | 157 | 238 | 437 | 684 | |
생산비 지불 | (70) | (204) | (330) | (519) | |
비용 | (50) | (50) | (50) | (50) | |
급여 지급 | (68) | (92) | (116) | (148) | |
세금과 보험료 |
| (26) |
|
| |
영업활동 현금흐름 증감 | (31) | (134) | (59) | (33) |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
| |
장비 | (100) |
|
|
| |
투자활동 현금흐름 증감 | (100) |
|
|
|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
| |
시드펀딩 |
|
|
|
| |
밴처캐피털 시리즈 A |
|
|
|
| |
벤처캐피털 시리즈 B | 1,000 |
|
|
| |
재무활동 현금흐름 증감 | 1,000 |
|
|
| |
총 현금흐름 증감 | 869 | (134) | (59) | (33) | |
기말의 현금 | 1,109 | 975 | 916 | 884 |
기업 X의 손익 계산서 작성을 위한 매출액에 대한 매출원가의 산정
연도 | 01년도 | |||||
매출/생산 계획 | 단위 | Q1 | Q2 | Q3 | Q4 | 합계 |
매출물량 | (1,000개) | 18 | 39 | 60 | 96 | 213 |
생산물량 | (1,000개) | 19 | 46 | 67 | 108 | 240 |
판매단가 | (1,000원) | 9.50 | 9.50 | 9.50 | 9.50 |
|
생산단가 | (1000원) | 5.5 | 5.5 | 5.5 | 5.5 |
|
총 위탁생산비 | (백만 원) | 105 | 253 | 369 | 594 | 1,320 |
직접생산 인건비 | 12 | 24 | 24 | 36 | 96 | |
총 생산비 |
| 117 | 277 | 393 | 630 |
|
개당 직접 생산 비용 | (1,000원) | 6.132 | 6.022 | 5.858 | 5.833 |
|
매출 총원가 | (백만 원) | 112 | 236 | 354 | 560 | 1,261 |
재고물량 | (1,000개) | 6 | 13 | 20 | 32 |
|
위탁생산비 항목의 계산
1분기의 경우 제품 19,000개를 생산하며 개당 생산단가는 5,500원이다. 따라서 총 위탁 생산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총 위탁 생산비 = (19,000개) x (5,500원/개) = 104,500,000 원 = 약 105 백만 원
개당 직접 생산비용 계산
1분기 개당 직접 생산비용 = (개당 제품 생산 단가) + (인건비 / 생산 제품 개수) = 5,500 + (12,000,000 / 19,000) = 약 6,132 원
2분기 개당 직접 생산비용 = 5,500 + (24,000,000 / 46,000) = 약 6,022 원
매출 총원가의 계산
2분기 중 판매량은 3만 9,000개로 재고관리에서 선입선출 원칙을 가정하면 먼저 1분기 재고 6,000개와 2분기 생산량 중 3만3,000개를 판매하게 된다. 따라서 3만 9,000개의 매출 총원가는 다음과 같다
2분기 매출 총원가 = (6,132원/개 x 6000개)+(6,022원/개 x 33,000개) = 235,500,000 = 약 236 백만원 = 2억 3,600만 원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분기의 매출 총원가를 계산한 뒤 01년 매출 총원가를 구하면 12억 6,100만 원이 된다.
기업 X의 손익계산서 (단위 100만 원)
연도 |
01 |
비율 |
|
매출액 |
|
2,024 |
|
생산비(매출원가) |
1,261 |
|
|
매출이익 |
|
762 |
37.7% |
운영비용 |
200 |
|
|
비생산직급여 |
540 |
|
|
감가상각 |
22 |
|
|
총비용 |
|
762 |
|
영업이익 |
|
0 |
0.0% |
이자비용 |
|
0 |
|
세전이익 |
|
0 |
|
법인세(20%) |
|
0 |
|
당기순이익(손실) |
|
0 |
0.0% |
매출이익 항목의 계산
매출이익 = 2,024 백만 원 -1261 백만 원 = 763 백만 원이지만 각 항목의 근사치를 반영해서 세부적으로 계산한 뒤 근사치를 취해주면 762백만 원이 된다. 즉 7억 6,200만 원이 매출이익이 된다. 따라서 매출이익률은 37.7%가 된다.
비생산직 급여항목의 계산
생산에 직접 관련이 없는 직원 및 경영진의 급여로 경영진 216백만 원, 비생산직 직원급여 324백만 원을 더한 540백만 원이 된다. 즉 5억 4,000만 원이 01년도 비생산직 급여로 지출되었다.
감가상각 항목의 계산
감가상각은 01년 누적 감가상각액 2,400만 원에서 00년도 감가상각 200만 원을 뺀 값인 2,200만 원이 된다.
총비용이 매출이익과 같은 7억 6,200만 원이어서 영업이익은 0이고, 차입금이 없어서 이자비용도 0, 법인세도 0이다. 따라서 당기순이익도 0이 되고 기업X의 01년도 목표인 손익분기점 지점에 해당한다.
기업 X의 재무상태표 (단위 100만 원)
01년 12월 31일 |
|||
자산 |
부채와 자본 |
||
현금 |
884 |
외상 매입 |
198 |
외상 매출 |
608 |
미지급금 |
212 |
재고 |
187 |
미지급 법인세 |
0 |
고정 자산(구매가) |
110 |
장기 차입금 |
0 |
감가상각 |
24 |
자본금 |
1,354 |
순 고정자산 |
86 |
이익 잉여금 |
0 |
자산 총계 |
1,764 |
부채와 자본 총계 |
1,764 |
'Rich 2 - 재무지식 > 스타트업 재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재무 #09) 스타트업 투자 유치 #2 (0) | 2018.10.22 |
---|---|
(스타트업 재무 #08) 스타트업 투자유치 #1 (0) | 2018.10.21 |
(스타트업 재무 #06) 재무비율 가공 (0) | 2018.10.19 |
(스타트업 재무 #05) 재무 용어 정리 (0) | 2018.10.18 |
(스타트업 재무 #04) 현금흐름표에 대한 이해 (0) | 2018.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