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기능 제품의 제작
고객의 지불 의사에 부합하는 최소 요건 제품을 정의하고 가설을 모두 통합한 시스템 테스를 진행해야 한다. 기능을 최대한 단순화시켜 리스크를 극소화한 최소 요건의 제품을 무기로 핵심 가설 검증을 실행에 옮겨야 한다. 최소 기능 사업제품은 가장 중요한 핵심 가설만 충족시키는 제품으로 고객의 지불 의사를 전제로 한다.
최소 기능 사업제품의 조건
최소 기능 사업제품은 다음 조건 3가지를 모두 만족시켜야 하며 하나라도 만족시키지 못하면 리스크를 제어할 수 없다.
조건 1 : 고객이 제품을 사용해 가치를 얻는다.
조건 2 : 고객이 제품에 돈을 지불한다.
조건 3 : 제품이 고객 피드백 순환 고리를 유도할 만한 충분조건을 가지고 있고, 피드백을 토대로 제품의 점진적 개선이 이뤄지는 과정이 반복된다.
최소 기능 사업제품은 단순성과 충분성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모든 것을 단순화해야 한다. 더 이상 단순하게 할 수 없을때까지." 아인슈타인의 말이다.
고객이 창업자 머릿속에 그리고 있던 기능을 모두 활용하지 못하더라도 아쉬워할 것 없다. 목표는 핵심 가설을 나열해 가장 중요한 가설만 선택하고 가급적 고객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고객이 구매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최소 기능 사업제품 테스트
1. 목표고객이 서비스에 가입할까?
2. 목표고객이 서비스를 사용할까?
3. 목표고객이 비용을 지불하려고 할까?
4. 이것이 진정 고객이 원하는 기능일까?
5. 고객이 서비스에 돈을 지불해도 아깝지 않다고 생각할까?
6. 지금 만족하더라도 고객의 요구사항과 우선순위가 변할 가능성은 없을까?
제품 기능을 추가할 때 최첨단 기술과 정말 넣기를 희망하는 기술을 넣으면 좋다. 하지만 최소 기능 제품의 단계에서는 가슴 뛰는 비전과 첨단 기술에 이끌려 길을 잃는 실수를 범하면 안된다. 그런 것들은 나중에 추가하면 될일이다. 중요한 것은 최소 요건을 현명하게 정의하고 단순화시켜서 핵심 가설을 검증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고객의 피드백을 받아들이고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면 성공가능성이 클 것이다.
고객과 기업이 얻는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어떤 기능을 포함하고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결국 창업자의 몫이다.
'Rich 3 - 사업시스템 > 스타트업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프로세스 - 24 STEP / 제품의 성장전략 수립 (0) | 2018.11.10 |
---|---|
스타트업 프로세스 - 23 STEP / 목표고객에게 제품 TEST (0) | 2018.11.09 |
스타트업 프로세스 - 21 STEP / 가설 검증과 리스크 감소 (0) | 2018.11.07 |
스타트업 프로세스 - 20 STEP / 핵심 가설의 확인 (0) | 2018.11.06 |
스타트업 프로세스 - 19 STEP / 신규고객 유치 비용 분석 (0) | 2018.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