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ich 3 - 사업시스템/스타트업 프로세스

스타트업 프로세스 - 24 STEP / 제품의 성장전략 수립

제품의 성장 전략 수립

고객들이 서비스를 활발하게 사용하는 것을 확인했다면 제품 성장 전략을 세워야 한다. 최소 기능 사업제품을 넘어 어떤 기능으로 거점 시장을 공략할 것인지 결정하고 거점시장 정복 이후 진출할 인접시장을 선택하고 제품 수정 전략을 수립해야한다. 최소 기능 사업제품에서 보류해왔던 기능을 페르소나의 요구를 기준으로 반영할 시기다. 이제껏 쌓아왔던 방대한 자료와 정보를 바탕으로 보류해왔던 기능을 다시 고민해야 한다.

제품의 품질 검증

흔히 새로운 버전을 출시하면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느라 시간이 지체되는 것을 당연시한다. 그보다는 제품의 질을 검증하는 절차를 공식화해야한다. 품질개선 혹은 검증 없이 새로운 기능을 신속하게 시장에 선보이면서 성장을 밀어붙이면 언젠가 품질 문제로 곤혹을 치르게 될 것이다.

시장 확장

시장 확장 시점을 고민하는 것도 중요하다. 페르소나는 하나의 거점 시장에 존재하는 고객이다. 이들이 시장에서 강력한 지위를 차지하면 사실상 표준이 되면서 독점적인 시장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다. 만약 현금흐름이 플러스로 돌아서면 다음 시장으로 이동할 준비를 해야 한다. 거점시장은 세력 확장을 위한 출발점일 뿐이다.


후속시장은 다른 특성을 보이지만 스타트업의 핵심 역량으로 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후속시장 제품은 새로운 페르소나와 수요와 기업의 성장 전략에 따라 달라지며 이때 완전히 다른 제품, 기존 제품의 대폭 수정, 기능으로의 재구성, 똑같은 제품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 제품 계획은 항상 수정 및 개선사항의 반복이므로 세부사항에 집착해 시간을 낭비할 필요 없다. 다음 목표에 대한 큰 그림이 있으면 그 규모를 수용할 수 있는 역량도 커질 것이다.




사업 확장 단계에서의 새로운 과제

사업 확장 단계에 이르면 또다시 배워야 하며 다음 과제를 풀어내야 한다.

기업 문화 구축

창업 팀 구성

조직 구조 설계와 인사관리

제품 개발

판매와 영업

고객 서비스의 과정 정립

재무 계획과 자금관리

확장에 필요한 투자 유치

기업가적 리더십 발휘와 사업 확대

합리적인 지배방식의 설계

계획이란?

계획 그 자체는 아무것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계획을 세우는 과정이다. 


계획을 세우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고민하고 예상치 못한 장애물을 발견하며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집중한다. 계획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도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계획은 출발점이며 도중에 방향을 수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