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ich 2 - 금융지식/"금융지식"키우기

금융지식 #22 / 펀드 투자 상식(4)

펀드 투자 상식(4)


펀드 투자에 임하는 자세

누구든 펀드에 투자하기로 결심하면 원금 손실의 우려가 없고, 수익률이 높으며, 필요할 때 바로 찾아 쓸 수 있는 펀드를 찾게 됩니다. 펀드의 경우 3영업일이 지나면 현금화하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유동성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익성과 안정성에 기초해서 펀드를 골라야 합니다. 


100% 안전한 펀드는 없습니다. 간혹 증권회사별로 원금보장형 상품을 내놓기도 하지만, 투자할 때는 증권회사가 원금을 100% 보장해준다고 약속하는 것인지, 아니면 원금 훼손 우려가 "거의"없다는 것인지를 잘 확인해보고 결정해야 합니다.

자세1. 욕심 줄이기

항상 욕심이 화를 부르는 법입니다. 시장 평균 수익률의 80% 정도로 목표 수익률을 낮게 잡을 필요가 있습니다.

자세2. 직접 펀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창구 직원이나 주변 사람들의 말은 철저하게 참고만 해야 합니다. 자료는 인터넷으로 충분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나 전국투자자협회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대한민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펀드 상품의 수익률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발매 초기의 상품은 기록을 비교하기 어려우니 가급적 피하고 연간 수익률이 전체 평균을 넘어서면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펀드를 고르는 편이 좋습니다. 펀드는 담당 펀드매니저가 운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동일한 펀드 내역으로 구성된 펀드라 하더라도 펀드매니저의 성향과 상황 판단 능력 등 운용 역량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집니다. 

증권가 찌라시등으로 흘러 다니는 정보에 현혹되지 말고 실적 정보에만 관심을 두면 절반 이상은 성공합니다.



자세3. 지수 연동 상품에 주목하기

코스피 지수나 블루칩 지수도 좋고 앞으로 대한민국 경제를 끌어 나갈 가전, 반도체, 유화, 자동차, 보건/의료, 제약, 화장품, 문화/스포츠 산업도 유망합니다. 개별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보다는 유망 산업군의 선도 기업을 묶어 투자하는 펀드가 바람직합니다.

해외 펀드는 안정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니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자세4. 거치식 대신 적립형으로 일정 금액을 매월 정기적으로 장기 투자하기

장세가 좋을 때는 기준가가 올라가서 좋고, 장세가 나쁠 때는 매입량을 늘릴 수 있어서 좋습니다. 가격 등락은 항상 있으므로 여기에 지나치게 반응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습니다.


단기간에 가격이 오르내리더라도 일반적으로 증권시장 속성상 2년~5년 단위로 가격 구조가 상향 조정되고 있으니 욕심을 부리지 않고, 자료 분석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수 연동형 상품을 골랐다면, 가격이 올라간다는 확신을 갖고 장기 투자하면 됩니다. 역사적으로 대한민국 코스피 지수는 박스권 및 우상향 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