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상품 상식
파생상품이란?
투자 대상물의 가격 변동을 예측하여 미래 가격에 투자하는 금융 상품을 말합니다. 투자 대상은 곡물, 원유, 금등의 일반 상품은 물론, 주식, 통화, 금리 등 금융 관련 상품 등 합리적인 방법으로 가격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면 대부분 포함됩니다. 투자 상품이 기본 대상물의 미래 가격에서 파생되었다고 해서 파생상품이라고 합니다.
파생상품은 적은 돈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손실 시 원금 이상의 엄청난 돈을 손해 볼 수 있으므로 특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미래의 예측 가격을 거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반인에게는 투기 활동에 가깝습니다. 만약 미래가격이 예측한 가격과 다르게 되면 엄청난 손실을 감당해야 하는 것입니다.
파생금융상품은 개인 투자자에게는 위험한 투자 수단이지만 나라 경제 전반을 놓고 볼때는 미래 가격이 어떻게 변할지 전망하는 도구로 활용되기도 하며, 향후 금융 시장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을 회피하도록 도와주는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선도거래
선도거래는 기초 자산(통화, 금리, 주식 등)을 미리 정한 계약 조건(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가격과 수량)으로 현재 시점에서 앞당겨 사고파는 것입니다. 선도거래는 장외시장에서 이루어집니다.
선물거래
선물거래는 기초 자산(통화, 금리, 주식 등)을 미리 정한 계약 조건(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가격과 수량)으로 현재 시점에서 앞당겨 사고파는 것입니다. 선물거래는 공인된 거래소인 한국거래소(KRX)에서 이루어집니다. 선물계약은 거래 금액의 10% 정도의 계약 증거금을 걸면 체결되므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변동성이 심하기 때문에 잘못되면 투자한 돈보다 훨씬 더 많은 손해를 볼 수도 있는 위험한 상품입니다.
옵션거래(콜옵션, 풋옵션)
옵션이란 미래에 지정해 둔 날(또는 그 이전)에 투자 대상이 되는 특정한 상품을 미리 정해 둔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선택권)을 말합니다.
콜옵션
정해 둔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
풋옵션
정해 둔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
스왑(통화 스왑, 금리 스왑)
스왑이란 두 가지의 금융자산(통화, 금리)의 거래 조건을 서로 교환하는 것입니다.
통화 스왑
두 가지 통화에 표시되어 있는 원리금 상환 의무를 맞교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주)대한민국은 달러가 필요하고 (주)미국은 원화가 필요하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주)대한민국은 한국에서 10만달러를 구하려면 최소한 5%의 이자비용이 발생하고(주)미국은 미국에서 1억원을 구하려면 5%의 이자비용이 발생합니다.
이때 (주)대한민국이 1억원을 1%의 이자율로 대출할 수 있고 (주)미국은 10만달러를 1%의 이자율로 대출할 수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러면 (주)대한민국과 (주)미국 사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거래가 가능해 집니다.
(주)대한민국은 1억 원을 (주)미국에게 빌려줍니다. 대신 1% 이자인 1백만 원을 (주) 미국이 갚아라고 합니다.
(주)미국은 10만 달러를 (주)대한민국에게 빌려줍니다. 대신 1% 이자인 1천 달러를 (주) 대한민국이 갚아라고 합니다.
중간기간에 (주)대한민국과 (주)미국은 1%에 해당하는 이자비율을 서로에게 주면 되고 만기 일에 (주)대한민국은 10만 달러를 (주)미국에게 주고 (주)미국은 1억 원을 (주)대한민국에 주게 됩니다.
그러면 양쪽다 4%의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훌륭한 거래가 되며 이것을 통화 스왑이라고 합니다.
금리 스왑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등 채무의 금리 조건을 서로 맞교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가 연계상품, 주가지수 연계 상품
특정 주식이나 주가지수의 가격이 오르고 내림에 따라 수익이나 손실이 결정되는 금융 투자상품입니다. 가격이 미리 정해진 조건과 일치하면 미리 정해진 수익률을 얻을 수 있고, 조건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손실을 볼 수도 있다는 점에서 파생상품과 유사합니다.
주가 연계 상품에는 ELS(주가 연계증권)과 ELF(주가 연계펀드)가 있습니다. ELS는 증권회사에서 발행하는 상품으로, ELS에 투자하면 증권회사는 투자금의 일부를 채권에 투자하여 원금의 일정 부분을 보장하고, 나머지는 주가지수 또는 개별 종목에 투자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ELS는 만기 전에 현금화하기 어려우며 만기는 3개월~2년인데 대개 1년 이하의 단기 상품이 주종을 이룹니다. 주가지수가 상승할 때 일정한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부터 주가지수 등락 구간별 수익률에 차이가 나게 하는 것 등 다양한 유형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원금보장형, 원금부분보장형, 원금조건부보장형의 3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ELF는 투자신탁회사가 발행하는 상품으로 ELS에 투자하거나 다른 파생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펀드입니다. ELF는 ELS와 달리 은행에서도 가입할 수 있으며, ELS는 상품에서 발생한 모든 차익에 세금을 부여하지만, ELF는 펀드이기 때문에 채권의 차익에 대해서만 과세를 하고, 주식에 대해서는 비과세입니다.
ELS나 ELF는 둘다 원금 보장형태에 따라 원금 손실의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Rich 2 - 금융지식 > "금융지식"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지식 #25 / 부동산(투자의 관점) (0) | 2018.12.29 |
---|---|
금융지식 #24 / 부동산(내 집 마련의 관점) (0) | 2018.12.28 |
금융지식 #22 / 펀드 투자 상식(4) (0) | 2018.12.26 |
금융지식 #21 / 펀드 투자 상식(3) (0) | 2018.12.25 |
금융지식 #20 / 펀드 투자 상식(2) (0) | 2018.12.24 |